조회 수 6812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창세기 3장을 읽으면 최초의 인간들인 아담과 하와가 금단의 열매를 먹은 후 '에덴'이란 낙원에서 쫓겨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 이야기는 아담과 하와라는 개별적인 인간들의 개인사를 전해주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이 최초의 인간이었다는 것은 그들이 인간의 대표라는 의미이고 그들이 인간의 대표라는 것은 그들의 이야기가 사실은 모든 인간의 이야기란 뜻입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선 인간 그럼으로써 참된 자기, 불교식으로 말하면 '진아'를 잃어버린 인간들의 실존적 상황을 전해 주는 상징입니다. 아담과 하와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바, 인간 실존이 처한 보편적 상황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금단의 열매를 먹은 인간은 벌거벗은 자기 모습을 의식하게 되었고 수치심에 올리브 잎으로 몸을 가리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자기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게 된 인간, 가식의 옷을 입지 않고는 견딜 수 없게 된 인간, 심리학적으로 말하면 가면Persona을 쓰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게 된 인간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둘째, 금단의 열매를 먹은 인간은 자기의 책임을 타인에게 전가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타인을 적대자로서 인식하게 된, 자기 불행의 원인을 타인에게 찾고 그에게 자기 불행의 책임을 전가하게 된 인간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보다 약한 존재가 보다 손쉽게 책임전가의 대상이 되는 인간사회의 상황을 상징합니다.

 

셋째, 금단의 열매를 먹은 인간에게 노동은 형벌이 되었습니다. 땅은 인간에게 가시와 엉겅퀴를 내고 인간은 그것을 제거하며 곡식을 일구어야 먹고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인간과 생태계의 관계가 상호공생이 아닌 상호적대의 관계가 되었다는 것, 깨어져 버린 인간과 생태계의 관계를 상징하는 이야기입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죄 사함이란 개별적인 인간의 도덕적인, 윤리적인 죄를 면제해 주는 것이 아니라, 창세기 3장의 상징을 통해 알 수 있는 기독교적 죄 사함의 의미는 참된 자기와의 분열을 극복하는 것, 타인과의 분열을 극복하는 것, 생태계와 분열을 극복하게 되는 것, 그리하여 자기와 타인과 세계와의 화해를 이루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Title
  1. CREDO, 나는 믿습니다!

    Date2016.08.09 By김희룡 Views7170
    Read More
  2. Dankbarkeit -Dietrich Bonhoeffer- (감사 - 디트리히 본회퍼)

    Date2022.04.07 By김희룡목사 Views1084
    Read More
  3. [목회칼럼] 신앙인이란?

    Date2016.07.13 By김희룡 Views6514
    Read More
  4. 『작은 것이 아름답다 – 인간 중심의 경제를 위하여』를 읽고

    Date2021.11.27 By김희룡목사 Views1765
    Read More
  5. 『정동 자본주의와 자유노동의 보상』을 읽고

    Date2021.11.27 By김희룡목사 Views1459
    Read More
  6. 개인적, 단수적 자아에서 집단적, 복수적 자아로!

    Date2020.12.09 By김희룡목사 Views4825
    Read More
  7. 고갈 된 상상력을 일깨우는 기도

    Date2022.04.07 By김희룡목사 Views1421
    Read More
  8. 고난 가운데 드러나는 하나님의 일(2020년 4월 9일 기독공보 칼럼)

    Date2021.12.01 By김희룡목사 Views1694
    Read More
  9. 그리스도의 삼중직 triplex munus christi

    Date2018.10.29 By김희룡목사 Views6828
    Read More
  10. 그리스도의 지옥 여행 Decensus Christi ad inferos

    Date2016.10.26 By김희룡 Views7216
    Read More
  11. 기도하는 자에게 무엇이 주어지는가?

    Date2016.08.03 By김희룡 Views6910
    Read More
  12. 기독교 기후 결사 가능한가?

    Date2021.11.27 By김희룡목사 Views1750
    Read More
  13. 기독교의 구원이란?

    Date2016.09.27 By김희룡 Views7200
    Read More
  14. 기독교의 역사적 비전(삼성해고노동자 강남역 25미터 철탑 고공농성 197일)

    Date2020.12.09 By김희룡목사 Views5371
    Read More
  15. 기독교의 죄 사함이란?

    Date2016.07.19 By김희룡 Views6812
    Read More
  16. 김희룡목사 위임식

    Date2023.03.03 By김희룡목사 Views1335
    Read More
  17. 나의 말은 내 삶을 위협하고 있을까?

    Date2020.12.08 By김희룡목사 Views5096
    Read More
  18. 내가 신을 사랑할 때, 나는 무엇을 사랑하는가?

    Date2016.08.22 By김희룡 Views7238
    Read More
  19. 도마의 의심을 지지합니다!

    Date2018.04.13 By김희룡목사 Views5304
    Read More
  20. 리더십의 두 가지 과제

    Date2017.07.26 By김희룡목사 Views57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Next ›
/ 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