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4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지난 해 여름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에 위치한 출판사 새물결플러스에서 주최한 자크 데리다Jaques Derrida 강의에 참여했다. 데리다는 해체의 철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반종교적 철학자로 알려진 측면이 있다. 그러나 데리다 강의를 진행한 강남순 교수를 통해 듣는 데리다는 경건한 신앙인에 가깝다는 인상을 받았다.


특별히 데리다의 종교개념에서 그런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 데리다는 종교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모든 종교는 형태를 달리하지만 공통적으로 새로운 세계에 관한 희망과 약속을 전해주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아직 오지 않은 세계에 대한 희망과 약속인 까닭에 지금 여기의 현실 속에서는 언제나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종교는 불가능성을 향한 열정 Passion for the impassible이다.”


지금 우리가 가능하다고 또는 당연하다고 여기는 많은 것들이 과거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된 것들에 대한 열정을 품었던 이들로 인하여 그것이 오늘날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 역시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 마음을 여니 성경에서 제시하는 많은 요구들, 즉 원수를 사랑하라는, 무한히 용서하라는 일견 불가능해 보이는 요구들의 가치가 새롭게 다가온다. 보이는 희망은 희망이 아니니 보이는 것을 누가 바라리요(8:24). 불가능한 것들에 대한 요구, 그것은 종교의 본령이었던 것이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 성문밖 목회 칼럼 연재를 시작하며 김희룡 2016.07.13 6390
106 [목회칼럼] 신앙인이란? file 김희룡 2016.07.13 6515
105 기독교의 죄 사함이란? 김희룡 2016.07.19 6817
104 염려는 한 가지로 족하다 김희룡 2016.07.27 6922
103 기도하는 자에게 무엇이 주어지는가? 김희룡 2016.08.03 6914
102 CREDO, 나는 믿습니다! 김희룡 2016.08.09 7180
101 신앙의 삼중성, 지,정,의 김희룡 2016.08.20 7341
100 내가 신을 사랑할 때, 나는 무엇을 사랑하는가? 김희룡 2016.08.22 7242
99 종교와 과학의 언어 김희룡 2016.09.06 6625
98 역사적 존재 예수, 기독교의 하나님 김희룡 2016.09.21 6757
97 기독교의 구원이란? file 김희룡 2016.09.27 7203
96 왜 구원은 십자가에서 이루어져야 했는가? 김희룡 2016.10.04 6584
95 예수의 재림을 믿는다는 것 김희룡 2016.10.11 6656
94 생명의 새로운 차원이신 성령 김희룡 2016.10.18 6605
93 그리스도의 지옥 여행 Decensus Christi ad inferos 김희룡 2016.10.26 7225
92 종교개혁-새로운 시대정신의 출현 김희룡 2016.11.02 6561
91 회개의 즉각성, 전격성, 주체성 김희룡 2016.12.03 6544
90 하나님의 아름다움 김희룡 2016.12.08 6685
89 하나님께 이르는 길, 부정의 길,via negativa 김희룡 2016.12.28 6636
88 불안Angst에 대하여 -Tillichlexicon에서- 김희룡 2017.01.10 686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Next ›
/ 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