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achment
첨부파일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평화교회연구소 사순절 묵상집에서 다루는 3번째 여성은 '사라'입니다. '사라'는 아브라함의 아내입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이  그의 아내 '사라'와 함께 평생 일구어 마련한 안정된 삶의 기반을 버리고 새로운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땅을 찾아 나설 때, 그의 아내 '사라'와 상의했다는 기록이 없습니다.


아브라함이 고향을 떠나 아직 자기의 기반을 닦지 못한 나그네로서 이집트에 머물 때, 아브라함이 자기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집트의 왕에게 한 번, 그리고 그랄 왕에게 또 한 번 자기의 아내 '사라'를 바칠 때, 그녀는 침묵해야만 했습니다.


그처럼 남편 아브라함을 위해 헌신했지만, '사라'는 평생 아브라함의 대를 이어줄 아들 하나 낳아 주지 못한다는 수근거림과 비웃음을 감내해야 했고 이것을 견디다 못해 스스로 남편 아브라함에게 자신의 여종을 첩으로 들여 주어야 했습니다.


남편 아브라함이 신의 비전을 실현하는 장엄하고 비장한 비전의 길에서 '사라'만큼 헌신된 동역자가 없었으나 동시에 그 누구도 '사라'만큼 소외된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렇게 90세 할머니가 된 '사라'에게 하나님께서 나타나셨습니다. 그리고 그녀에게 아들을 주실 것이라는 약속을 주셨습니다. 피조물을 압도하는, 일상을 뛰어넘는 어마어마한 하나님 경험 앞에서 그녀는 엎드려 경배하지 않습니다. 그녀가 보인 반응은 어이없다는 실소였습니다.


후대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라'의 반응이 믿음 없는 태도라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가장 철저하게 자기를 부정당한 채 살아야 했던 그녀의 굴곡진 인생을 돌아 본다면 그녀의 반응은 너무도 논리적인 태도입니다.


'사라'의 실소는 분명 의심과 회의의 태도입니다. 그러나 의심과 회의는 믿음의 반대말이 아닙니다. 의심과 회의가 파괴하는 것은 믿음이 아니라 믿음의 이름으로 강요되는 온갖 미신들일 뿐입니다. 의심과 회의를 통과하지 못한 믿음은 그저 맹목일 뿐입니다.


그런 점에서 '사라'의 어이없다는 반응, '사라'의 실소는 아니면서 그런 척하는 거짓 믿음이 아닌 참된 믿음으로 들어가기 위한 문을 지키는 수문장과 같습니다.


기도

주님, 우리는 종종 '사라'의 어이없다는 반응, 그리고 그녀의 실소를 믿음 없는 태도로 규정하면서, 인생의 고난과 고통 속에서 삶에 대해 의심과 회의의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믿음 없는 사람으로 간주합니다. 그들이 스스로의 의심과 회의에 대답을 찾을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이러한 우리의 태도가 믿음을 강조하면서 오히려 미신에 빠져드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돌아 보게 하옵소서.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 2019사순절 10번째 묵상: 출애굽의 트로이카, 모세, 미리암, 아론 file 김희룡목사 2019.03.26 7091
46 2019사순절 11번째 묵상: 하나님의 역사적 탈주에 동참한 라합 file 김희룡목사 2019.03.29 6779
45 세월호 5주기 file 김희룡목사 2019.04.17 5812
44 5.18광주민주항쟁 39주기 file 김희룡목사 2019.05.10 6519
43 2019성문밖전교인수련회 김희룡목사 2019.08.31 6206
42 저녁 찬송 김희룡목사 2020.12.08 4827
41 모두가 병들었지만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김희룡목사 2020.12.08 5612
40 절망의 끝에 숨어있는 새로운 시작 김희룡목사 2020.12.08 4826
39 만물을 규정하는 현실성, 예수 김희룡목사 2020.12.08 5421
38 나의 말은 내 삶을 위협하고 있을까? 김희룡목사 2020.12.08 5125
37 추수감사주일에 교우들이 써 주신 감사들 김희룡목사 2020.12.08 4877
36 2019년 10월 20일 장로, 안수집사 임직식을 마치고 김희룡목사 2020.12.08 5003
35 종말에 깨어있자구요 김희룡목사 2020.12.08 5132
34 영적인 여정의 위기 김희룡목사 2020.12.08 5058
33 평화로써 평화를! 김희룡목사 2020.12.09 5161
32 세례요한의 행복 김희룡목사 2020.12.09 5881
31 개인적, 단수적 자아에서 집단적, 복수적 자아로! 김희룡목사 2020.12.09 4848
30 홍콩 민주화 시위 현장에 다녀와서(2019년 12월 대림절 마지막 주일) 김희룡목사 2020.12.09 5132
29 기독교의 역사적 비전(삼성해고노동자 강남역 25미터 철탑 고공농성 197일) 김희룡목사 2020.12.09 5392
28 하나님의 아들이 말 구유에 나신 뜻은? 김희룡목사 2020.12.09 529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Next ›
/ 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E Login